기획영상·카드뉴스
[한눈에 보는 보사연 연구] 고령 노동자의 경제활동
- 작성일 2023-08-16
- 조회수 2,476
영상 카드뉴스, 한눈에 보는 보사연 연구
우리나라는 2025년,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이 20.6%에 달하게 됨에 따라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예상되는데요, 고령자의 고용률과 고용형태 등 일자리 현황을 카드뉴스 영상으로 준비하였습니다.
○ 원자료 출처
- 고령자의 일과 사회활동 정책 모니터링과 과제(강은나, 정책보고서 2022-09)
- 초고령사회 대응 정책 의제 개발 연구(이윤경, 정책보고서 2022-92)
(그래픽 자막)
보사연 연구를 통해 살펴본 사회이슈
<고령 노동자의 경제활동>
출처: 고령자의 일과 사회활동 정책 모니터링과 과제(강은나, 정책보고서 2022-09), 초고령사회 대응 정책 의제 개발 연구(이윤경, 정책보고서 2022-92)
Search
고령층
고령층 증가
고령층 경제활동
고령층 경제활동에 따른 사회적 효과
우리나라 고령화율 변화
65세 이상 인구(비울)
2000년: 7.2%, 2005년: 9.0%, 2010년: 10.8%, 2015년: 12.8%, 2020년: 15.7%, 2025년: 20.6%, 2030년: 25.5%
2000년 7.2% 추정 > 2025년 20.6% 예상
2025년 초고령 사회 진입
65세 이상 고령자의 고용률도 점점 증가하고 있음
2015년: 30.4%, 2016년: 30.6%, 2017년: 30.6%, 2018년: 31.3%, 2019년: 32.9%, 2020년: 34.1%, 2021년: 34.9%
고령 취업자의 연령대별 고용률
55~64세 - 2011년: 62.2%, 2021년: 66.3%
65~74세 - 2011년: 37.0%, 2021년: 44.1%
75세 이상 - 2011년: 15.7%, 2021년: 22.0%
모든 연령대에서 모두 고용률 증가
75세 이상 연령구간에서는 15.7%에서 22%로 크게 증가
고령 취업자의 연령대별 고용률
특히 75세 이상 노인 5명 중 1명은 '경제활동 참여'
고령자의 고용 형태는 어떨까?
고용형태? 직업군?
[65~75세 고용 형태]
2021년 고령 임금자 고용 형태
특수형태: 5.4% 용역: 13.1 일일: 10.1% 단시간: 15.2% 기간제: 8.9% 정규직: 46.3% 기타: 1.0%
[75세이상 고용 형태]
2021년 고령 임금자 고용 형태
특수형태: 5.8% 용역: 9.6% 일일: 8.1% 단시간: 17.5% 기간제: 7.0% 정규직: 51.7% 기타: 0.3%
[75세이상 고용 형태]
단시간 임금근로자 비율 정규직 다음으로 높음!
75세 이상 고령 임금근로자 직업군 TOP 3
2021년 고령 임금근로자 직업군 분포 중
1. 단순노무종사자: 35.9%
2. 사무종사자: 24.0%
3.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11.6%
다른 연령대의 단순노무종사자 비율은 어느 정도일까?
고령 임금근로자의 단순노무종사자 비율
55세 이상: 21.5%
55~64세: 17.6%
65~79세: 33.5%
75세 이상: 35.9%
65세 이후로 단순노무종사자 비율 15% 이상 높아짐
고령층이 근로를 희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2022년 고령층의 근로 희망 동기
1위: 생활비에 보탬 - 57.1%
2위: 일하는 즐거움 - 34.7%
3위: 무료해서 - 4.1%
고령층의 일자리 선택기준은 뭘까?
2022년 고령층의 일자리 선택기준
일과 양과 시간대: 28.9%
임금수준: 21.5%
계속 근로 가능성: 16.4%
일의 내용: 13.8%
과거 취업 연관성: 10.4%
출퇴근 거리 등 편리성: 7.5%
기타: 1.6%
고령층은 어느 정도의 임금수준을 희망한다고 응답하였을까?
2022년 고령층의 희망 월평균 근로소득
150~200만 원 미만 - 20.9%
200~250만 원 미만 - 18.5%
100~150만 원 미만 - 17.8%
고령자의 경제활동 참여가 확대되면 나타나는 사회적 효과는 뭘까?
고령자 경제활동 증가의 사회적 효과 3가지
1. 장기적인 생산연령인구 감소로 인한 노동력 부족 완화
2. 고령층 부양비 감소로 인한 정부의 재정 지출 부담 감소
3. 고령자 개인의 생계 유지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
고령자의 적극적인 경제활동 참여를 위한
다양한 고용 제도 마련과 긍정적인 사회 인식의 변화가 필요합니다!
영상을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