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포토뉴스
제4차 KIHASA-IPSS 사회정책 정례 포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일본의 인구 및 사회정책 싱크탱크인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IPSS)와 함께 제4차 KIHASA-IPSS 사회정책 정례 포럼을 개최했습니다.

  • 제4차 KIHASA-IPSS 사회정책 정례 포럼
  • 고객응대근로자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사업주의 자발적 참여 유도 정책 필요
  • 『보건복지포럼』 5월호 발간
  • 2023년『보건사회연구』콜로키움
  • [정책썰전 뽀라] 2023 복지정책 편(3화)
  • 제4차 KIHASA-IPSS 사회정책 정례 포럼

    제4차 KIHASA-IPSS 사회정책 정례 포럼

  • 고객응대근로자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사업주의 자발적 참여 유도 정책 필요

    고객응대근로자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사업주의 자발적 참여 유도 정책 필요

  • 『보건복지포럼』 5월호 발간

    『보건복지포럼』 5월호 발간

  • 2023년『보건사회연구』콜로키움

    2023년『보건사회연구』콜로키움

  • [정책썰전 뽀라] 2023 복지정책 편(3화)

    [정책썰전 뽀라] 2023 복지정책 편(3화)

발간물

보고서
1/2
임신출산 지원 정책 모니터링 및 과제
연구보고서 2022-34||Research Monographs 2022-34 임신출산 지원 정책 모니터링 및 과제

연구책임자 이소영

이 연구는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21~2025년)내 임신·출산 관련 정책이 전환된 패러다임에 조응하여 추진되기 위한 모니터링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의 실효성 있는 추진을 위해 임신·출산 관련 세부 정책의 실천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통해 향후 제5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의 임신·출산 정책이 실증적 근거를 토대로 수립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2021년도 시행계획을 중심으로 임신·출산 영역 주요 사업의 검토 및 정리, 제1~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내에서 사업의 변화 과정 분석,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2021년도 중앙 부처 시행계획, 세부 사업별 사업 안내 등의 문헌 내용 분석, 국민 인식 조사 및 심층 면접을 통한 정책의 인지도, 정책 경험과 만족도, 정책 욕구 등의 파악, 정책 담당자 및 전문가 대상 조사와 간담회 등을 통한 사업 목적과 내용의 정합성, 추진 체계의 적절성, 추진 내용의 적정성, 추진 일정의 적시성, 사업 관리 및 점검 등의 적정성, 성과 측정 방식의 적절성 등의 분석을 통해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을 통해 도출한 내용이 향후 임신·출산 지원 정책과 이를 포함한 제5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과 같은 저출산 대책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자세히 보기

정기간행물
1/3
  • 위기 취약 청년의 현황과 정책과제
  • 복지국가는 사회적 위험을 앞서가며 진화해야 한다
  • 미국의 상병수당 도입 및 운영 경험
    • 온라인 서비스의 개인정보 침해 위험, 국민과 함께 대응 방안 찾는다
    • 2023년 한국의료패널 조사 실시.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국민들이 적정한 의료비 수준으로 건강한 생활을 누릴 수 있는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기위해 2008년부터 현재까지 한국의료패널 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2023년 조사를 다음과 같이 실시합니다.
    • 개인정보 지키면 프라이벗, 놔두면 프라이빗. 내 정보도, 타인의 정보도 모두 소중한 개인정보. 내 정보는 유출되지않게, 타인의 정보는 알더라도 알려지지 않게.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