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기획영상·카드뉴스

이주노동자는 4대 보험 적용을 받을까?

  • 작성일 2025-03-10
  • 조회수 162

정책이슈를 1분안에 정리하는 쇼츠(shorts) 콘텐츠 입니다.


ㅇ원 영상: [KIHASA 기획] 이주노동자와 사회권: 성숙한 사회로 가는 길


*관련 연구보고서: 사회배제 대응을 위한 새로운 복지국가 체제 개발 - 이주노동자 연구(김기태)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7353


(음성자막)


(성우 내레이션)


한국의 이주노동자 사회권 보장에 대한 현실을 알아보겠습니다.


(김기태 복지국가연구센터장)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은 국민들, 우리나라 국민들을 대상으로 하되

이주민은 원칙적으로 배제를 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설정했다고 보시면 될 것 같고

고용보험과 산재보험은 국적과 오히려 무관하게

근로 유무를 기준으로 대상자를 정했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다른 사증을 가진, 비자를 가지신 분들은

임의 적용이라고 해서 사업장에서 고용주와 노동자가 함께 신청을 하면

고용보험의 적용을 받는 방식으로 됩니다.


(가령) 이주노동자 입장에서는 3년을 초과해서 4년 10개월을 일하고 싶을 때

고용주의 추천이 반드시 필요한데 고용주가 사실은 이 부분을 미끼로 삼아서

부당한 요구를 할 수 있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많은 외국인근로자들이 고용보험에서 배제되는 결과를 낳고 있습니다.

실제로 재중동포분들, 방문 취업하시는 분들 같은 경우에

절반 이상이 고용보험에서 실업급여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 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금지,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