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영상·카드뉴스
사회적 임금을 알아보자 | 보건사회연구온(ON)
- 작성일 2025-10-20
- 조회수 35
보건복지·사회정책 분야 정책 연구 상식을 1분 완성 콘텐츠로 알기쉽게 소개합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를 소재로 제작하였습니다.
ㅇ연구보고서: 사회정책 성과 및 동향 지표 개발 연구(함영진)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546
(음성 자막)
여러분은 '사회적 임금'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사회적 임금(Social Wage)'은 노동력 재생산을 돕기 위해
국가가 사회복지 형태로 제공하는 각종 급여와 서비스를 칭하며,
노동의 대가로 수령하는 시장 임금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공교육, 건강보험, 각종 현금수당 등을 사회적 임금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월급처럼 우리삶을 지탱해준다는 의미에서 사회적인 '임금'으로 불리웁니다.
이러한 사회적 임금의 가치를 매기는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받는 대상을 임금 노동자로 한정할지, 모든 국민을 포함할지에 따라,
또 아동수당처럼 현금지원만 포함할지, 교육 및 의료 등 서비스의 가치까지 더할지에 따라서
국민 한사람당 받는 사회적 임금의 액수는 크게 달라집니다.
그러면 왜 사회적 임금을 측정할까요?
그 이유는 바로 사회적 임금을 통해 사회 정책의 실질적 효과를 측정할 수 있고,
복지정책의 사각지대와 불균형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시장 임금과 사회적 임금을 더해야 우리 경제적 삶의 전체 그림을 볼 수 있습니다.
과연 우리나라의 사회적 임금은 얼마로 측정되었을까요?
보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에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