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포럼
건강배제 집단의 사회자본과 정책적 함의
- 저자
김기태
- 페이지
32-45
- 발행년월
2022. 04.
건강은 사회적 배제의 주요한 지표 가운데 하나다. 건강배제는 다른 범주의 사회적 배제의 결과로 나타날 뿐 아니라, 다른 사회적 배제를 낳는 원인이 된다. 이 글에서는 주관적 건강, 우울감, 의료서비스 접근권을 기준으로 건강 영역에서 배제가 중첩된 정도에 따라 설문 응답자들을 네 집단(비배제, 배제 1~3)으로 나누 었다. 그리고 집단별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자본 실태, 문제 상황에서의 대처 내용 및 복지 인식 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배제 집단에서 대체로 저학력, 저소득 집단의 비율이 높았다. 둘째, 건강배제 집단의 사회자본은 비배제 집단보다 낮았다. 셋째, 건강배제 집단은 비배제 집단보다 건강 문제에 직면했을 때 도움받을 수 있는 사적·공적 네트워크가 약했다. 넷째, 건강배제 집단은 소득 불평등의 심각성 에 대한 동의 수준이 높았고, 사회문제를 시정하기 위한 사회 참여 의사도 비배제 집단과 유사한 수준으로 높았다. 건강배제 집단의 배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공적인 지원 체계를 강화하고 이들 집단의 사회 참 여를 활성화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배제 집단에서 대체로 저학력, 저소득 집단의 비율이 높았다. 둘째, 건강배제 집단의 사회자본은 비배제 집단보다 낮았다. 셋째, 건강배제 집단은 비배제 집단보다 건강 문제에 직면했을 때 도움받을 수 있는 사적·공적 네트워크가 약했다. 넷째, 건강배제 집단은 소득 불평등의 심각성 에 대한 동의 수준이 높았고, 사회문제를 시정하기 위한 사회 참여 의사도 비배제 집단과 유사한 수준으로 높았다. 건강배제 집단의 배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공적인 지원 체계를 강화하고 이들 집단의 사회 참 여를 활성화하는 접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