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사회통합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Ⅸ):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사회통합도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
- 연구책임자
이태진
- 발행연도
2022
- 페이지
457
-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2022-04
Abstract 1
요 약 5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5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7
제2장 이론적 배경 25
제1절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나타나는 취약성 27
제2절 코로나19의 경제적 충격과 사회통합 및 복지정책 인식 30
제3절 코로나19 취약계층과 건강불평등 31
제4절 코로나19 이후의 사회적 지지와 사회통합 영향요인 34
제3장 코로나19 전후 삶의 만족도와 사회통합, 정부대응 인식 변화 37
제1절 들어가며 39
제2절 주관적 행복과 삶의 만족도 41
제3절 사회통합 인식 50
제4절 정부의 코로나19 대응 및 향후 지원 방향 인식 87
제5절 소결 100
제4장 코로나19의 경제적 충격과 사회통합 및 복지정책 인식 105
제1절 들어가며 107
제2절 분석 방법 108
제3절 분석 결과 112
제4절 소결 142
제5장 코로나19로 인한 건강영향과 사회통합을 위한 건강정책 인식 145
제1절 들어가며 147
제2절 연구 방법 147
제3절 분석 결과 149
제4절 소결 173
제6장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지지와 사회통합 및 사회갈등 영향요인 175
제1절 들어가며 177
제2절 연구 방법 178
제3절 분석 결과 182
제4절 소결 205
제7장 결론 및 정책적 함의 207
제1절 주요 결과 및 함의 209
제2절 정책 제언 219
참고문헌 223
부록 229
[부록 1] 코로나19의 영향과 사회통합 실태조사 표본설계 229
[부록 2] 코로나19의 영향과 사회통합 실태조사 설문지 245
[부록 3] 코로나19의 영향과 사회통합 실태조사 기초분석 267
요 약 5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5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7
제2장 이론적 배경 25
제1절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나타나는 취약성 27
제2절 코로나19의 경제적 충격과 사회통합 및 복지정책 인식 30
제3절 코로나19 취약계층과 건강불평등 31
제4절 코로나19 이후의 사회적 지지와 사회통합 영향요인 34
제3장 코로나19 전후 삶의 만족도와 사회통합, 정부대응 인식 변화 37
제1절 들어가며 39
제2절 주관적 행복과 삶의 만족도 41
제3절 사회통합 인식 50
제4절 정부의 코로나19 대응 및 향후 지원 방향 인식 87
제5절 소결 100
제4장 코로나19의 경제적 충격과 사회통합 및 복지정책 인식 105
제1절 들어가며 107
제2절 분석 방법 108
제3절 분석 결과 112
제4절 소결 142
제5장 코로나19로 인한 건강영향과 사회통합을 위한 건강정책 인식 145
제1절 들어가며 147
제2절 연구 방법 147
제3절 분석 결과 149
제4절 소결 173
제6장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지지와 사회통합 및 사회갈등 영향요인 175
제1절 들어가며 177
제2절 연구 방법 178
제3절 분석 결과 182
제4절 소결 205
제7장 결론 및 정책적 함의 207
제1절 주요 결과 및 함의 209
제2절 정책 제언 219
참고문헌 223
부록 229
[부록 1] 코로나19의 영향과 사회통합 실태조사 표본설계 229
[부록 2] 코로나19의 영향과 사회통합 실태조사 설문지 245
[부록 3] 코로나19의 영향과 사회통합 실태조사 기초분석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