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한국의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 한국인의 사회적 불안 분석종합과 정책적 함의

한국의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 한국인의 사회적 불안 분석종합과 정책적 함의

  • 연구책임자

    이현주

  • 발행연도

    2023

  • 페이지

    347

  •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23-40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연구의 배경과 연구 개요 9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14
제3절 연구의 방법 18

제2장 선행연구의 검토와 분석 자료 21
제1절 선행연구의 검토와 시사점 23
제2절 1·2·3·4차 연도 연구 개요와 시사점 38
제3절 분석 자료의 구축과 검증 49

제3장 사회적 불안 인식에 대한 기초분석 결과 61
제1절 사회적 불안 인식의 수준과 내용 63
제2절 집단별 사회적 불안 인식의 비교 72

제4장 사회적 불안 인식의 구조: 코호트 간 비교 89
제1절 분석 내용과 분석 방법 91
제2절 사회적 불안 인식의 구조 107
제3절 사회적 불안 인식 설명 요인 네트워크 분석 115
제4절 소결 122

제5장 개인의 심리 불안과 사회적 불안 인식 125
제1절 분석 내용과 분석 방법 127
제2절 개인 불안심리 유형 특성 137
제3절 개인 불안심리의 예측요인: 사회적 인식 및 경험을 중심으로 153
제4절 소결 166

제6장 소득계층과 사회적 불안 인식: 사?공적 지원의 영향 169
제1절 분석 내용과 분석 방법 171
제2절 소득계층별 박탈 경험과 지지체계 180
제3절 지지체계와 사회적 불안 격차 195
제4절 소결 215

제7장 사회적 고립과 사회적 불안 인식 219
제1절 분석 내용과 분석 방법 221
제2절 사회적 고립의 유형과 사회적 불안 238
제3절 사회적 고립의 사회적 불안에 대한 영향 240
제4절 소결 244

제8장 대처성향과 사회적 불안 인식: 사회참여?활동을 초점으로 247
제1절 분석 내용과 방법 249
제2절 사회적 불안 대처성향 254
제3절 사회참여 특성과 불안 265
제4절 사회적 불안에 대한 영향 분석 271
제5절 소결 286

제9장 결론 291
제1절 주요 분석 결과의 요약 293
제2절 정책과제 300
제3절 기대효과와 한계 312

참고문헌 315
부록 329

첨부파일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 이용허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