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코로나19가 취약층 고용과 소득에 미친 영향 국제비교
- 연구책임자
김현경
- 발행연도
2025
- 페이지
389
-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25-03
요약 1
제1장 서론 5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7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론 9
제2장 주요국 코로나19 전후의 사회경제적 특성 15
제1절 각국 경제적 특성 17
제2절 코로나19 전후 고용 변화 24
제3절 각국의 일하는 방식 변화 37
제3장 한국의 코로나19 영향 45
제1절 서론 47
제2절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주요 정책 50
제3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54
제4절 코로나19 전후 고용과 소득 변화 58
제5절 코로나19 고용과 소득 변화로 본 취약층 72
제6절 소결 82
제4장 독일의 코로나19 영향 83
제1절 서론 85
제2절 독일의 코로나19 대응 주요 정책 88
제3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97
제4절 코로나19 전후 고용과 소득 변화 100
제5절 취약층 고용과 소득 변화 116
제6절 소결 127
제5장 영국의 코로나19 영향 129
제1절 서론 131
제2절 영국의 코로나19 대응 주요 정책 133
제3절 분석자료 145
제4절 코로나19 전후 고용과 소득 변화 151
제5절 코로나19 고용과 소득 변화로 본 취약층 168
제6절 소결 183
제6장 미국의 코로나19 영향 191
제1절 서론 193
제2절 미국의 코로나19 대응 주요 정책 199
제3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223
제4절 코로나19 전후 고용과 소득 변화 228
제5절 취약층 고용과 소득 변화 258
제6절 소결 279
제7장 노르웨이의 코로나19 영향 281
제1절 서론 283
제2절 노르웨이의 코로나19 대응 주요 정책 288
제3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294
제4절 코로나19 전후 고용과 소득 변화 297
제5절 취약층 고용과 소득 변화 323
제6절 소결 334
제8장 결론 337
제1절 요약 및 정리 339
제2절 정책적 시사점 351
참고문헌 359
Abstract 373
제1장 서론 5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7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론 9
제2장 주요국 코로나19 전후의 사회경제적 특성 15
제1절 각국 경제적 특성 17
제2절 코로나19 전후 고용 변화 24
제3절 각국의 일하는 방식 변화 37
제3장 한국의 코로나19 영향 45
제1절 서론 47
제2절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주요 정책 50
제3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54
제4절 코로나19 전후 고용과 소득 변화 58
제5절 코로나19 고용과 소득 변화로 본 취약층 72
제6절 소결 82
제4장 독일의 코로나19 영향 83
제1절 서론 85
제2절 독일의 코로나19 대응 주요 정책 88
제3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97
제4절 코로나19 전후 고용과 소득 변화 100
제5절 취약층 고용과 소득 변화 116
제6절 소결 127
제5장 영국의 코로나19 영향 129
제1절 서론 131
제2절 영국의 코로나19 대응 주요 정책 133
제3절 분석자료 145
제4절 코로나19 전후 고용과 소득 변화 151
제5절 코로나19 고용과 소득 변화로 본 취약층 168
제6절 소결 183
제6장 미국의 코로나19 영향 191
제1절 서론 193
제2절 미국의 코로나19 대응 주요 정책 199
제3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223
제4절 코로나19 전후 고용과 소득 변화 228
제5절 취약층 고용과 소득 변화 258
제6절 소결 279
제7장 노르웨이의 코로나19 영향 281
제1절 서론 283
제2절 노르웨이의 코로나19 대응 주요 정책 288
제3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294
제4절 코로나19 전후 고용과 소득 변화 297
제5절 취약층 고용과 소득 변화 323
제6절 소결 334
제8장 결론 337
제1절 요약 및 정리 339
제2절 정책적 시사점 351
참고문헌 359
Abstract 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