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과제사업

행복 및 삶의 질 측정과 정책 활용성 제고 방안 연구

진행
  • 구분
  • 연구기간 20240101 ~ 20241231
  • 연구책임자 김성아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보장 최종 성과지표로서 삶의 질 체계를 구성하는 행복을 측정하는 데에 타당성과 합리성을 확보함으로써 정책 활용성 제고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있음.
  ○ 이를 위해 첫째, 추상적 개념으로서의 행복과 다차원적 개념으로서의 삶의 질을 측정하는 개념 타당성을 검토하고,
  ○ 둘째, 조사방법에 의한 모드 효과(mode effects)와 조사표 설계에 의한 프레이밍 효과(framing effects)를 중심으로 행복 및 삶의 질 측정 결과를 오염시킬 수 있는 기제의 존재를 조사실험을 통해 검증하며,
  ○ 셋째, 강건성(robustness)을 확보한 행복과 삶의 질 측정 결과를 활용해 수준 및 격차의 존재를 심층분석함으로써,
  ○ 최종적으로 최종 성과로서의 국민행복과 삶의 질을 사회정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주요연구내용]


□ 행복과 삶의 질 개념 타당성

□ 서베이를 활용한 행복과 삶의 질 측정을 위한 쟁점 검토

□ 조사실험(survey experiment)을 활용한 행복과 삶의 질 신뢰성 및 측정 타당성 검증
  ○ 서베이 방법에 의한 모드 효과 및 조사표 설계에 의한 프레이밍 효과 존재 검증

□ 행복과 삶의 질의 강건한 측정 결과를 포함한 2차 자료 심층분석 및 정책적 함의 도출
  ○ 행복과 삶의 질 측정 지표 간 관계 실증분석
  ○ 행복 및 삶의 질 빈곤과 격차 실태 및 정책 우선순위 파악

□ 사회보장 성과로서 행복과 삶의 질 측정 가이드라인 등 실질적 활용성 제고 방안 모색



[기대효과]


□ 추상적 개념으로서의 국민 행복과 삶의 질 측정 결과의 신뢰성 및 타당성 담보를 위한 기초자료 생산
  ○ 국민의 삶의 질을 평가하는 신뢰성 높은 지표를 개발하여 정책적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음.

□ 사회정책의 궁극적 목적으로서 국민 행복 및 삶의 질 증진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정책 방안 모색의 과학적 근거 마련
  ○ 정책 수립 시 국민의 삶의 질을 고려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음.

□ 정책 공급과 수요 간 정합성 제고를 통한 사회정책 실효성 제고
  ○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고 국민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음.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 이용허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