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과제사업

주거급여제도의 위상재정립 방안연구 국외 사례를 중심으로

발간
  • 구분
  • 연구기간 20240101 ~ 20241231
  • 연구책임자 임덕영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주거급여제도의 위상 재정립 방안 도출을 위하여 국외 제도를 분석하고자 함
  ○ 주요 국가별 주거비 지원제도의 주요 현황을 상세하게 파악함
  ○ 주요 국가별 주거비 지원제도의 시기별 쟁점 및 대응, 제도 변화를 파악함
  ○ 각 주요 국가 간 특징 및 쟁점을 비교 파악하고 한국에의 시사점을 도출함



[주요연구내용]


□ 주요 국가별 주거비 지원 제도의 배경 및 주요 현황, 시기별 쟁점을 상세하게 파악
  ○ 국내 주거실태 및 주거급여 현황, 제도적 쟁점
  ○ 역사적 배경 및 주요 연혁: 특히 주거체제론 관점에서의 케메니 연구에서의 모델(일원임대모델 및 이원임대모델) 로의 구축 과정
  ○ 주요 현황: 대상자 (보편성 여부 및 특정 인구집단 우대, 소득 및 자산 기준 등), 지원 내용 및 지급방식, 예산 규모, 소관 부처 및 전달체계, 공공부조 및 타 제도와의 관계, 주거급여액 산정 방식 등

□ 국외 사례 연구를 통한 시사점 도출
  ○ 국외 주거비 지원제도의 변화를 심층 분석하여 한국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 도출
  ○ 주거급여의 보편적 주거권 보장을 위한 제도 개선 방향 제시

□ 국내외 전문가 자문
  ○ 필요 시 국내외 전문가와 화상, 서면, 대면 전문가 자문을 실시
  ○ 전문가에 대한 구조화된 설문지 통한 의견 취합도 고려함



[기대효과]

□ 학술적 기여
  ○ 각 국가별 관련 제도에 대한 폭넓은 분석을 통해 공공부조의 틀을 넘어선 주거비 경감 차원의 제도 구축을 위한 근거 제시
  ○ 최저한 수준 보장을 넘어선 보편적 주거권 보장을 위한 주거비 경감이라는 관점에서의 제도 구축을 위한 이론적이며 보편적 시사점 도출

□ 정책적 기여
  ○ 주거급여를 포함한 주거비 지원 제도의 거시적 방향성 설정을 위한 시사점 제시
  ○ 그간 대상자 확대 및 급여 수준 상향의 정당성, 관련된 예산규모 추정에 대한 논의가 주로 이루어져 왔으나, 거시적 방향성 및 이를 뒷받침할 연구의 축적은 미진하였음. 이에 주거급여의 제도 확대를 벗어나 방향성 설정을 위한 연구의 성격으로 국외 주요 국가들의 주거급여 제도를 심층적이며 종합적으로 분석함.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 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금지,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