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과제사업

청년 이행경로 변화의 파급효과와 인구사회정책적 함의

진행
  • 구분
  • 연구기간 20240101 ~ 20241231
  • 연구책임자 김문길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023년 연구(김문길 외, 2023)에서 파악된 오늘날 청년들의 이행경로의 특성변화가 개인사적으로, 사회경제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
□ 이행경로 변화에 따른 부정적 파급효과에 대응하기 위한 청년정책, 저출산고령화정책(부모급여, 아동수당, 출산 및 양육정책 등), 나아가 사회정책적 함의와 개선방안 제시



[주요연구내용]


□ 이론적 검토
  ○ 교육 이행, 일자리 이행, 가족 이행 변화의 개인사적 영향
  ○ 교육 이행, 일자리 이행, 가족 이행 변화의 인구사회경제학적 영향

□ 청년의 성인기 이행경로 변화의 개인사적 영향
  ○ 생애소득, 노동시장 지위 등의 영향
  ○ 결혼, 출산 등 가족형성의 영향
  ○ 건강(신체, 정신), 사회인식 등의 영향

□ 청년의 성인기 이행경로 변화의 인구사회경제학적 영향
  ○ 결혼 및 출산 행태 등 인구학적 측면
  ○ 노동력 공급, 생산성, 경제성장 등 경제적 측면
  ○ 사회보장비 분담구조 등 사회보장재정적 측면

□ 청년의 성인기 이행경로 변화의 파급효과의 국제비교
  ○ 복지레짐(혹은 경제체제) 유형별 파급효과
  ○ 우리나라의 보편성과 특수성 검토

□ 청년정책, 저출산고령화정책, 사회보장정책적 함의
  ○ 이행기 지원을 위한 청년정책에의 함의
  ○ 저출산고령화정책(부모급여, 아동수당, 출산 및 양육 정책 등)에의 함의
  ○ 사회보장정책에의 함의



[기대효과]


□ 오늘날 청년들의 이행과정의 특성 변화의 미시적(개인사적), 거시적(인구사회경제학적) 파급효과 분석을 통한 청년정책 및 저출산고령화정책 등 정책함의 제공
□ 청년들의 유형별 이행과정 변화와 그 미시적, 거시적 파급효과 분석을 통한 청년 유형별 정책대응 정합성 제고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 이용허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