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과제사업

청년건강 실태와 정책과제

진행
  • 구분
  • 연구기간 20250101 ~ 20251231
  • 연구책임자 김동진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본 연구는 다른 생애주기와는 구분되는 청년 고유의 건강문제와 건강불평등 이슈를 발굴하고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 청년 세대의 특징적인 건강행태와 새로운 건강 위험요인을 발굴하는 한편, 인구집단 간 건강불평등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청년 세대 내 취약계층을 파악해 보고자 함.
  ○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건강정책 현황파악과 함께 청년 건강문제와 건강취약집단에 대응하기 위한 건강정책의 방향을 제시함.



[주요 연구내용]


□ 청년 세대 새로운 건강위험요인 발굴
  ○ 궐련형 또는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 알코올 사용 장애, 식사 습관(외식 또는 매식, 혼식), 소진 경험, 우울이나 불안, 스마트폰 사용 장애, 약물 오남용, 성폭력 등 청년 세대 고유의 건강위해요인 발굴
  ○ 청년 건강위험요인 및 취약 집단 발굴

□ 청년 세대 건강관리서비스 욕구 파악
  ○ 청년 대상 건강정책 현황 파악
  ○ 청년층 건강관리서비스에 대한 욕구 파악
  ○ 청년층 보건의료서비스 이용 수준 및 장애요인 발굴

□ 청년 세대 내 건강취약계층에 대한 정의
  ○ 기존의 소득이나 학력, 직업 등에 따른 구분 외 영케어러(청년 간병인), 한부모청년, 니트(NEET) 청년, 1인 가구 청년, 청년 부모 등 다른 세대와는 구분되는 청년 건강취약계층 검토

□ 청년 세대 건강불평등 대응을 위한 정책 제언 마련
  ○ 건강위험의 사회적 원인을 포함한 다차원적 접근 방안 논의



[기대효과]

□ 공정한 삶의 기회를 확보하는 데 바탕이 되는 청년의 건강문제를 포괄적으로 파악하여 청년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여함.
  ○ 특히, 청년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건강결정요인을 찾아내고 청년 건강취약집단의 건강불평등 현황과 해소방안 마련에 기여함.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 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금지,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