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과제사업

초고령사회 전개와 미래지향적 노년기 진단체계 구축 연구

진행
  • 구분
  • 연구기간 20250101 ~ 20251231
  • 연구책임자 이선희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초고령사회 전개에 따라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노년기 진단체계를 재구조화하고자 함
  ○ 노년의 삶의 지향을 재정립하고 그에 따른 진단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노년기 삶에 대한 진단 및 미래 정책 수요 예측의 정확성을 제고하는 것에 목적을 둠



[주요 연구내용]

□ 노인의 삶의 지향 및 주요 지표체계에 대한 이론적 검토
  ○ MIPPA를 비롯한 국내외 노인의 삶의 지향에 대한 이론적 논의 검토
  ○ 국내외 노인의 삶(또는 삶의 질) 지표체계 검토
  ○ 미래 노인의 삶을 위협하는 (잠재적) 미래사회 위험요인 검토

□ 노인의 삶 진단체계 구축 : 지향점·구성요소(영역) - 진단지표
  ○ 노인의 삶의 지향점(방향성)에 대한 재정립
  ○ 구성요소와 하위 진단지표 구축 및 개발
  ○ 선정된 주요 진단지표의 측정방식 고도화

□ 예비조사(시범적용)을 통한 진단지표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 선정된 주요 지표에 대한 예비조사(시범적용)
  ○ 예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진단지표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 정책 수립 기초자료로서의 활용도 제고 방안 모색
  ○ 주요 실태조사에서의 활용도 증진 방안 마련
  ○ 시계열 및 국제비교 가능성을 염두한 개선방안 모색



[기대효과]


□ 정책적 기여도
  ○ 대표성 있는 정부부처 실태조사 등에 다각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초고령사회 대응 및 고령자 삶의 다양성에 기초한 전략적 지원 방안 마련에 기여

□ 학술적 기여도
  ○ 초고령사회 고령자의 삶의 지향성 파악 및 국내외 축적된 자료원을 바탕으로 한 기초자료 생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 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금지,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