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과제사업

산후우울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

진행
  • 구분
  • 연구기간 20250101 ~ 20251231
  • 연구책임자 이소영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본 연구는 산후우울감 및 산후우울증의 실태를 파악하고 산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한 편, 산후우울에 대응한 정부의 생애 초기 건강관리 사업의 성과를 점검하여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증진을 통한 초저출산 문제에 대응하는 실효성 있는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세부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음.
  ○ 산후우울감 및 산후우울증 실태 및 관리 실태 파악
  ○ 산후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생애 초기 건강관리 사업 성과 점검
○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증진을 위한 지원 방안 도출



[주요 연구내용]


□ 산후우울의 개념과 산추우울 측정 도구에 대한 내용 고찰

□ 산후우울감 및 산후우울증 실태 파악
  ○ 2024년 실시 예정인 「가족과 출산 조사(한국보건사회연구원)」데이터를 활용하여 산후우울 경험과 대처 방안 등 파악
  ○ 2024년 실시 예정인 「산후조리실태조사(보건복지부)」데이터를 활용하여 산후우울감 및 산후우울증 실태 파악
  ○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하여 산후우울증 환자 현황 파악

□ 산후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2024년 실시 예정인 가족과 출산 조사 데이터 및 2024년 실시 예정인 산후조리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산후우울 및 산후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파악
  ○ 질적 조사를 통해 최근 출산한 산모의 산후우울 경험과 산후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파악

□ 생애 초기 건강 관리 사업 분석
  ○ 생애 초기 건강 관리 사업의 배경과 목적 등 고찰
  ○ 생애 초기 건강 관리 사업의 성과와 한계 진단

□ 산후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방안 도출



[기대효과]


□ 본 연구는 국정과제인 안전하고 질 높은 양육환경 조성의 적극적인 수행과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의 원활한 마무리를 통해 포괄적인 저출산 대응 정책을 설계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
  ○ 산후우울의 실태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해 최신의 데이터를 통해 분석하여 대표성 있는 최근의 현황을 제시하고 산후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위험집단을 파악함으로써 관련 논의의 바탕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됨
  ○ 최근 전국적으로 도입되어 추진되고 있는 생애초기건강관리 사업에 대해 진단하여 정책적 개선에 이바지하고, 더 나아가 산후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는 체계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건강한 임신·출산을 통한 여성의 정신건강뿐만 아니라 이들이 돌보는 신생아 또는 영아의 건강증진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 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금지, 변경금지